전체 글52 해변 탐지시 그리드(밭갈이) 탐색이 좋은 이유 개개인마다 해변을 탐지할 때 여러 형태로 탐지를 한다. 1. 라인따라 쭈욱 걸으며 탐지2. 지그재그로 탐지3. 그리드스캔(일명 밭갈이) 탐지4. 랜덤하게 발길 닿는대로 탐지 가급적이면 3번의 형태로 탐지하는 것을 추천한다.1~4번 어떤 형태로 탐지를 하든 4가지 모두 거의 비슷한 면적을 탐지하게 되는데, 조금씩 중첩해서 탐지를 한다면 3번의 총 탐지면적이 가장 적을 수밖에 없지만, 득금할 확률은 가장 높다. 더군다나 해당 해변의 포인트를 알고 있고 그 부분을 그리드스캔 한다면 확률은 더더욱 올라간다. 그 이유는 위 이미지에서 알 수 있다.똑같은 깊이에 똑같은 금반지지만, 각기 다른 모습(각도)으로 위치한 반지에 대한 스윙시 반응. 깊이 20cm, 볼륨 25일 때. ① 가장 소리가 선명하고 명확하게 들리며.. 2019. 1. 30. 조수간만, 해변 지형에 따른 해변 탐지범위 선택 초보들은 해변 탐지시 무작정 발길 닿는대로 탐지하는데, 그것보다는 해변의 특성을 이해하여 가능성이 높은 지역을 공략하면 득금할 확률 또한 높아진다. 이는 조수간만, 해변의 지형에 따라 결정되어 진다. 1. 경사가 매우 완만한 해변해변의 경사가 매우 완만하여 물이 빠지고 들어오는 속도가 매우 빠르고 간조 때 수백미터까지 뻘이 드러나는 해변을 말한다.이러한 해변은 동전이나 반지 등이 멀리까지 떠내려가지 못하고 중간지대에 안착하기 때문에 간조 끝라인을 탐지할 필요가 없다.해변 젖은모래에서 50m정도까지만 치되 물이 고여있는 곳, 음푹 들어간 곳, 자갈 들이 모여있는 곳, 수로 등 일명 '까인곳'을 공략해야 한다. 2. 비교적 경사가 있는 해변해변의 경사가 있으면 물이 빠지고 들어오는 속도가 매우 느리고 간조 .. 2019. 1. 26. 리커버리 스피드란? 위 이미지를 참고로 설명. 녹슨 못과 반지가 나란히 있다고 가정.리커버리 속도(recovery speed)란 녹슨 못이 감지되면 이를 처리한 후 반지의 신호에 응답할 수 있도록 녹슨 못의 신호를 처리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말한다. 복구속도라고도 한다. 리커버리 속도의 높고 낮음에는 각각의 장단점이 있다. 보통 리커버리 속도가 높으면 탐지물들에 대한 반응이 빠르지만, 탐지 깊이가 줄어든다. 따라서 빠른 복구 속도는 철쓰레기의 밀도가 높은 영역에서 매우 유용하다. 리커버리 속도가 느리면 위 위미지처럼 반지가 철의 신호에 가려진다는 치명적인 단점이 있지만, 탐지 깊이가 늘어나서 깊이 묻혀 있는 탐지물을 탐지한다는 장점이 있다. 쓰레기가 많은 지역이라면 리커버리 속도를 높이고 쓰레기가 별로 없는 지역이라면 리커버.. 2019. 1. 26. iron bias란? iron bias는 탐지된 물체에서 철성분이 있을 경우 이를 철로 인식하게 할 확률을 말하며 0~9까지 설정할 수 있다. 0으로 설정하면 철쓰레기가 많은 지역에서 그만큼 탐지음이 울리고 또 많이 파야하기 때문에 몸이 피곤해진다. 9로 설정하면 철은 무음처리 되서 조용하지만, 철 바로 옆에 붙어 있는 반지나 동전까지도 철로 인식하게 되므로 놓칠 수 있다. 쉽게 말해 9로 설정한다면 철쓰레기 바로 옆(1cm~3cm)에 붙어 있는 반지를 포기해야한다는 뜻이고 0으로 설정한다면 무한삽질을 각오해야한다는 뜻이다. 바다에서 철쓰레기와 반지가 바짝 붙어서 놓여있을 확률은 얼마나 있을까 싶지만, 의외로 그런 경우가 상당히 많다. 물의 움직임에 따라 비중이 무거운 것들은 같이 움직이고 같은 장소에 머무를 확률이 높기 .. 2019. 1. 25. 이전 1 2 3 4 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