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52

미세음에 대한 두번째 이야기 - Threshold의 중요성 수십년동안 광활한 땅에서 골드너겟을 사냥하는 너겟헌터들을 괴롭혀왔던 것은 고도로 광물화된 지형에서 발생하는 거짓신호였다. 너겟헌터들은 이 거짓신호를 무시하고 아주 깊은 곳의 작은 골드너겟을 보다 쉽게 탐지하기 위해 금속탐지기 제조사에 Threshold 기능 탑재를 지속적으로 건의했었다. Threshold 기술이 개발되기 전에는 큰 너겟들은 강한신호를 내보내서 어렵지 않게 탐지할 수 있었지만, 1g도 안되는 깊고 작은 금의 신호는 땅의 광물반응에 의한 거짓신호때문에 뭐가 거짓신호고 뭐가 너겟 신호인지 파악하기가 어려웠기 때문이다.  Threshold는 거부된 타겟의 유무, 전원 on/off 유무를 확인하기 위한 것도 있지만, 그보다는 깊이 묻혀 있는 아주 작은 탐지물의 신호(미세음)를 듣기 위한 기능이라 .. 2019. 11. 13.
CTX3030 Sensitivity Panel(감도) 수치에 대한 오해와 진실 CTX3030의 감도 조절은 수동과 자동으로 설정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하단의 Sensitivity Panel에는 두개의 두자리 숫자가 표시되는데, 위 이미지에서 16은 현재 탐지기가 작동중인 실제 감도이고 녹색의 14는 탐지기가 현장의 접지, EMI 등을 계산하여 권장하는 권장감도이다. 그런데 의외로 녹색 숫자를 중요하게 여기는 사용자들이 있는 것 같다. CTX3030은 전원을 켜면 권장감도가 14로 표시되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자동접지가 이루어지면서 권장감도 수치가 증가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이것을 실제감도로 착각한 여러 사용자들은 탐지기 전원을 켜고 약 10~15분정도 녹색수치가 증가하기를 기다리는 모습이 종종 보인다. 그게 아님에도 입에서 입으로 와전 되어 굳어진 믿음에 돌을 던지기가 싫어서 .. 2019. 11. 3.
Ferrous-coin 모드와 사용자버튼의 활용 Ferrous-coin 모드는 탐지물에 대해 전도성(CO)과 철성분(FE)을 분리하여 표시하여 주는 모드이다. 하나의 탐지물이 갖고 있는 전도성과 철성분을 그 정도에 따라 분리하여 대략적으로 표시해주기 때문에 탐지물이 어떤 것인지 대략적으로 파악이 가능하다. 우리나라 유저들은 대부분 Ground-Coin이나 High-Trash 모드를 애용하고 Ferrous-coin 모드는 사실상 버려진 모드지만, 의외로 쏠쏠하게 써먹을 수 있는 모드이다. 특히 50톤에 올메탈 유저라면 유용하게 써먹을 수 있다. 본디 철은 패턴에 의해 거부되면 무음처리되고 올메탈 Combined모드 사용시에는 저음, 올메탈 50톤 사용시에는 하이톤이 들리는게 정상이지만, 철이 뻘겋게 산화되면 겉 표면에서 전도성을 띠게 되어 탐지기가 오락.. 2019. 11. 2.
미세음에 대한 첫번째 이야기 - 일반론 금속탐지라는 취미를 즐기면서 소위 '득금'하는 것에 대해 사람들은 '운칠기삼'이라고들 한다. 운빨이 7할이고 기술이 3할이라는 뜻인데, 몇년 전에는 통했을지 몰라도 요즘은 반대로 기술의 비율이 7할은 되야 득금 기회가 생긴다. 여기서 기술이라 함은 아주 깊은 곳에 묻혀있는 금의 미약한 신호음을 포착할 수 있는 능력이고 이 미약한 신호음이 바로 '미세음'이다. 그러나 운칠기삼이 맞는 경우도 있다. 우연히 크게 침식된 해변이나 낮아진 뻘을 발견한 경우에는 초심자도 쉽게 득금할 수 있다. 하지만, 그 많은 해변들중 그런 곳이 어딘줄 어떻게 알겠는가... 그리고 그런 곳이 생긴다면 거의 당일 날 고수들이 포착하기 때문에 변화가 생긴 후 2~3일 후면 이미 털렸다고 봐야한다. 그래서 낮 물때에 부지런히 돌아다니며.. 2019. 10. 21.
EQUINOX, CTX3030 해변 셋팅 EQUINOX 감도 : 25(max), EMI 잡음 심할때는 18~20 볼륨 : 25(max) 모드 : 비치2 올메탈(말편자 누름), 취향선택. 톤 : 5톤 or 50톤 트래쉬홀드 : 적당히 트래쉬홀드 피치 : 기본값 리커버리스피드 : 3~5, 천천히 스윙하여 미세탐지를 하겠다면 1 아이언 바이어스 : 0~2 CTX3030 감도 : 수동 30(max), EMI 잡음 심할때는 수동 20~25 or Auto +3 볼륨게인 : 30(max), 거짓신호 많으면 20~25 볼륨리밋 : 20~25(이어폰이나 헤드폰 추천) 모드 : 비치모드(아무 모드나 해도 됨) 톤 : Combined or 50co톤 트래쉬홀드레벨 : 적당히 들릴만큼 트래쉬홀드 피치 : 기본값 리커버리패스트 : OFF, 빠르게 마른모래 후딱 칠거라.. 2019. 7. 30.
금속탐지의 이론과 실전 금속탐지에 대해 귀동냥과 인터넷 검색을 통해 공부를 많이 했더라도 경험(Experience)을 해보지 못했다면 절대로 현장 경험이 많은 사람만큼 줏을 수 없고 많이 다니는 사람이 득금할 확률이 높다. 이것은 금속탐지 취미에서 절대불변의 진리다. 모든 분야에서도 이론과 실제는 많은 차이를 보이듯 금속탐지에서도 이론과 실전은 매우 다르다.  금속탐지에 입문하는 많은 사람들이 저지르는 실수가 바로 유튜브 에어테스트를 보고 그대로 실전에 적용하려 한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CTX3030에서 5g정도 되는 18k 금반지를 에어테스트하면 Fe/Co 값이 12.27~29가 뜨고 일정한 특정 톤이 발생하고 타겟흔적(빨간 점)도 일관되게 찍힌다. 대부분의 금반지류(순금제외)의 Fe값이 12이다보니 Fe값이 12이고 타겟.. 2019. 4. 22.
CTX3030 표적분리 옵션(Low trash, High trash, Ferrous coin, Ground coin) 설명 선택한 CTX3030의 모드 에디트로 들어가면 Target Separation 라는 메뉴와 4가지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옵션이 있다. Target Separation는 표적에 대한 반응을 어떻게 처리할지에 대한 옵션이다. 산이든, 들판이든, 땅이든, 바다든 이 Target Separation 옵션을 지형에 맞게 적절히 사용하면 효율적인 탐지가 가능해진다. 참고로 이 표적분리 옵션은 데이터를 처리함에 있어서 복잡성에 따라 속도의 차이가 조금 있는데, Ground-coin 옵션이 가장 복잡해서 이 옵션을 선택하면 평소 스윙속도보다 살짝 천천히 하는 것이 좋다. ※ Target Separation 옵션은 타겟의 톤에는 거의 영향을 주지 않지만, 타겟 ID에는 영향을 준다. 각 4가지 옵션에 따라 미세하게.. 2019. 4. 18.
금속탐지기의 코일이 크면 더 깊게 탐지될까? 위 이미지는 마인랩 이쿼녹스의 코일 3종이다.좌측부터 15인치, 가운데가 11인치 기본코일, 마지막이 6인치 스나이퍼 코일이다.코일이 크면 깊이가 더 늘어나지만, 사실 큰 코일을 사용하는 궁극적인 이유는 좀 더 깊은 탐지가 아닌 더 넓은 면적을 빠르게 커버하기 위함이다. CTX3030의 17인치 코일과 11인치 기본 코일의 깊이 차이는 불과 1~3인치이기 때문에 큰 코일의 깊이 메리트는 사실 별로 없다고 봐도 무방하다. 다만 코일의 면적이 크기 때문에 남들(11인치 코일)이 100평의 면적을 탐지할 때 160평을 탐지할 수 있다는 것은 매우 큰 잇점이라 해변 탐지꾼들은 큰 코일을 선호하는 편이다.  큰 코일이 장점만 있는 것은 아니다.큰 코일은 그만큼 무겁기 때문에 하네스가 필수적이고 쓰레기가 많은 지역.. 2019. 3. 25.
CTX3030의 Tone id Profile 개념 이해하기 보통 VLF 방식의 탐지기는 톤을 골라서 사용할 수 있게 되어 있는데, CTX3030에는 8개의 톤모드가 존재하고 이쿼녹스에는 5개의 톤모드가 존재한다. CTX3030의 8개 톤모드에 대해 알아보자.  One Tone말 그대로 1가지 음색만 들리는 모드이다. 철이든, 금이든 똑같은 음색의 소리를 내준다. 뭐든지 다 파야만 하는 상황에 딱 좋은 모드다. 이 모드는 8개의 모드중 가장 깊이 탐지된다.(차이는 미미함)  2 Conductive Tones전도성(Conductive) 수치를 기준으로 2가지 음색이 들리는 모드이다.    Tone id profile 편집에 들어가면 영역이 위처럼 크게 2칸으로 나뉘어지며, 각 칸에 주파수(75hz~1200hz)를 임의로 지정할 수 있다. 위 이미지에서 노란 화살표가.. 2019. 3. 23.
CTX3030 타겟 ID 이해하기 위 이미지를 보자.12.38, 그리고 3in 이라는 글자가 보인다. CTX3030의 VID는 위와 같이 표시되는데, 앞의 12는 철성분인 FE값이고 뒤 38은 전도성(비철금속)인 CO값다. 3in은 대략적인깊이로 3인치 쯤에 탐지물이 묻혀 있다는 뜻이다. (깊이는 옵션에서 cm 단위로 설정할 수 있음) CTX3030의 FE값 범위는 1~35이고 CO값의 범위는 1~50까지 표시된다.위 이미지를 보면 그리드가 보이는데, 가로로 5칸, 세로로 3칸 반정도가 있다. 그렇다.저 그리드 칸이 바로 CO값과 FE값의 범위를 표로 나타내주는 것이다.네모 한칸은 가로세로 10의 값을 갖는 정사각형이다. 가로로 5칸이니 50이고 타겟 커서가 위치하는 곳이 탐지물의 대략적인 전도성을 나타낸다.세로로는 10짜리 네모칸이 3.. 2019. 3. 22.
배터리를 개조하면 성능이 더 좋아질까? CTX3030이나 이쿼녹스의 배터리팩을 개조하여 사용하면 성능이 좋아질까?해외에는 CTX3030이나 이쿼녹스의 정품 배터리팩을 개조하여 사용하는 사람들이 더러 있는데, 그들이 배터리팩을 개조하는 이유는 탐지시간을 비약적으로 늘리기 위함이지 성능의 향상을 위해서가 아니다. 더러는 성능의 향상을 느꼈다는 사람도 있긴하지만, 글쎄... 플라시보 효과가 아닐까 생각된다. CTX3030의 정품 배터리팩의 출력은 14v 정도다. 그렇다면 CTX3030의 배터리팩에 들어 있는 정품 배터리를 제거하고 3.7v에 3500짜리 18650 배터리로 교체하면 14.8V가 되는데, 전압이 높아졌으니 깊이도 더 나오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하게 되는데, 전혀 그렇지 않다. CTX3030의 콘트롤 박스에는 레귤레이터가 내장되어 있.. 2019. 3. 20.
해변 금속탐지시 무조건 유명한 곳으로 가라(대한민국 방문객 많은 해수욕장) 금속탐지의 묘미는 뭐니뭐니 해도 비치 헌팅이다.유명한 해변으로 가고 싶지만 거리가 멀어서 부담이 되는 경우가 있는데, 그래도 하루쯤 시간을 내어 유명한 해변으로 가는걸 추천한다. 이름 없는 해변으로 가면 다른 탐지인들이 거쳐가지 않았을 확률이 있으니 득금할 수 있지 않을까? Never... 우리나라 사람들의 근성을 무시하지 마시라.뭐좀 나올것 같다 싶으면 어디든 다니기때문에 아무리 외진 곳이고 편의시설이 없는 해변일지라도 거의 다 다녀갔다고 보면 된다. 그리고 이름 없는 해변에서 나올만한 것은 쓰레기나 썩은 동전밖에 없다. 간혹 옛날 할매 은반지 정도는 나올 수도... 가장 추천하는 곳은 대천해수욕장이며, 그중 인기 있는 포인트는 해변을 바라보고 맨 우측 리조트 앞과 119 건물 앞쪽 물끝이다. 대천해수.. 2019. 3. 17.